연보하는 '지폐'의 관리와 '감사' 내역

문답 / 발언

예배당으로 아끼고 조심해 주셨으면,
모든 분에게 깨끗한 모습을 보이고, 신앙에 유익하도록 노력했으면 합니다.

연보하는 '지폐'의 관리와 '감사' 내역

서기 0 177 2022.11.06 17:15
1. 연보 할 때 주의하실 점
연보란 '액수'가 아니라 '정성'입니다. 정성이 빠지면 연보가 아니라 '기부'라고 합니다.
교계는 액수가 중요하니 돈이 많고 공회는 정성을 주목하니 정성이 많으면 좋겠습니다.

 - 계좌 이체
실시간 예배를 참석하는 분과 금액 때문에 현금이 위험하면 계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돈의 상태
평소 일반 연보는 현금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금의 경우는 상태를 살피면 좋습니다.
평소 깨끗한 돈이 들어 오면 연보를 위해 따로 모아 두는 분이 계십니다. 정성이 됩니다.
주일이 닥치고 교회 갈 때 급하게 챙기게 되면 돈이 깨끗해도 정성이 깨끗하지 않습니다.

돈이 험하면 세탁을 하고 다리미로 다리고 책갈피에 넣어 정성껏 준비하는 분도 계십니다.
모두 그리 하기는 어려우나 그렇게 하는 것이 돈과 경제와 연보를 두고 좋은 자세입니다.
그렇게 해도 해야 할 정도라는 것을 생각하고 평소 미리 깨끗하게 준비하면 좋겠습니다.


<그림 - 물에 살짝 담그고, 말린 다음에, 다려 봤습니다.>




2. 감사 연보의 내역
액수가 적어도 한 주간을 돌아 보며 가장 감사한 일을 감사 연보로 적으면  좋겠습니다.
불신자들도 교인들의 '감사'를  본받아 이제는 항상 '감사'라는 말을 모두가 하며 삽니다.
원래 '감사'란 교인이 교회에서 사용했고 우리는 그런 감사를 세상에 퍼뜨린 교인입니다.
감사 중에 감사는 하나님께 감사입니다. 그냥 '감사'로 적지 말고 감사 내용을 적읍시다.

한 주간 가장 감사한 일, 앞으로 가장 감사하고 싶은 일을 감사 연보에 담고 표시합시다.
교인수를 고려하면 감사연보의 내역이 80 개는 넘고 100개는 되어야 하는데 아쉽습니다.
어려도 또 첫 신앙이라 해도 액수는 상관이 없으나 감사를 찾고 적도록 안내해 주셨으면.

Comments

Category
State
369,428 since 2005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