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당으로 아끼고 조심해 주셨으면,
모든 분에게 깨끗한 모습을 보이고, 신앙에 유익하도록 노력했으면 합니다.
성찬, 신년행사 (업무 참고)
교인1
0
108
2022.01.02 12:25
■ 성찬 식탁과 성찬기 보
① 식탁
우리 교회의 성찬 참여 숫자를 고려하면 현재 사용하는 성찬 식탁의 폭은 맞으나 식탁의 길이는 너무 깁니다.
현재 성찬 식탁보에 맞는 성찬 식탁을 미리 준비해 주시고 평소 성찬 식탁은 피아노 앞의 사무실에 두셨으면.
② 식탁보, 上
식탁보는 성찬기 밑에 놓이는 보가 성찬 식탁의 다리를 대부분 가리되 바닥에 끌리지 않을 정도라야 합니다.
식탁보도 오래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새 예배당에 맞지 않으면 바꾸시되 한 번 바꾸면 최대한 오래 사용하고
③ 식탁보, 下
식탁 위의 성찬기를 다시 덮는 식탁보는 성찬기를 놓는 식탁의 윗 부분만 살짝 덮을 정도로 길이를 맞추시되
식탁보를 들 때 떡이나 잔이나 세례수 등이 묻거나 문제가 없도록 성찬기와 물그릇은 모두 잘 덮어야 합니다.
④ 잔과 떡
떡은 올해부터 직접 준비했습니다. 재료와 조리기가 편하고 누룩 없는 성찬 떡을 마련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성찬 떡은 부풀리지 않게 만들고 꿀이나 설탕처럼 맛 있는 것을 없애는 것이 좋으나 딱딱하지 않아야 합니다.
■ 세례
① 좌석 배치
남녀반 모두 세례의 호명 순서를 따라 남녀 반의 복도 쪽에서 가까운 순서로 앉아야 진행에 차질이 없습니다.
세례를 받는 분은 제일 앞 자리에 앉을 때, 가림막을 바짝 붙여 당겨 놓아야 세례를 베풀 때 자세가 좋습니다.
② 세례 후 입교 문답
다른 교회는 세례 후 입교 문답을 별도로 진행하며 맹세를 시키나 우리는 세례 절차로 입교를 다 대신합니다.
절차를 간소하게 하는 것은 뜻에 집중하기 위함입니다. 절차를 너무 줄이다 보면 무시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② 세례용 흰 장갑
세례 때 오른 손의 장갑에 물을 묻힙니다. 성찬의 떡과 잔을 진행할 때 불편할 수 있으니 장갑을 추가했으면.
성찬의 장갑과 세례용 물수건은 탁자 보처럼 세탁해서 다시 사용하되 색이 바랄 정도가 되면 바꾸면 됩니다.
■ 결산 보고 때
돈을 표시하는 '원'이나 사람을 표시하는 '명'은 처음에 한 번씩 표시하면 뒤에 일일이 붙이지 않아도 됩니다.
'원'과 '명'을 너무 생략하다 보면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를 수 있습니다. 한 번씩 알아서 사용하셨으면.
[이 게시물은 서기님에 의해 2022-06-02 17:32:11 문답 / 발언에서 복사 됨]
[이 게시물은 서기님에 의해 2022-06-02 18:29:26 문답 구자료에서 이동 됨]